반응형
한국의 24 절기는 태양의 움직임, 즉 황도에 따라 1년을 24개로 나누어 정한 날들은 한국의 전통적인 계절표인 24 절기를 형성합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24 절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4 절기 역사
태양력과 태음력의 괴리로부터 발생한 날짜와 계절의 불일치를 보완하기 위해 동아시아에서 처음으로 고안된 것이 24 절기입니다. 태음력은 달의 모양을 통해 날짜를 파악하기 쉽지만. 계절의 변화를 정확하게 체감하기 어려웠습니다. 특히, 농경사회에서는 계절에 따른 날씨 변화를 쉽게 파악해야 했기 때문에 황도를 기준으로 24개의 절기를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중국에서 최초로 고안되었고, 태음태양력과 함께 사용되었습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조선시대 무렵에 도입되었으며, 음력만으로는 농사 일정을 조절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양력과의 결합이 필요했습니다. 그러나 24 절기의 명칭은 중국의 화북 지방의 기후에 기반하고 있어 한반도의 실정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세종조에서는 농사직설 등의 도서를 편찬하여 실용성을 높였습니다.
24절기 기후
봄 | 입춘 (立春) |
2월 4일경 | 봄의 시작. |
우수 (雨水) |
2월 19일경 | 눈이 녹기 시작하는 날. | |
경칩 (驚蛰) |
3월 6일경 |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는 날. | |
춘분 (春分) |
3월 21일경 | 낮의 길이가 밤보다 길어지기 시작하는 날 | |
청명 (淸明) |
4월 5일경 | 봄의 날씨가 가장 좋은 날. | |
곡우 (穀雨) |
4월 20일경 | 봄비가 내리는 날. |
여름 | 입하 (立夏) |
5월 6일경 | 여름의 시작 |
소만 (小滿) |
5월 21일경 | 볕이 잘 드는 날. | |
망종 (芒種) |
6월 6일경 | 곡식의 씨앗을 뿌리는 날. | |
하지 (夏至) |
6월 21일경 | 1년 중 낮이 가장 긴 날. | |
소서 (小暑) |
7월 7일경 | 본격적으로 더위가 시작되는 날. | |
대서 (大暑) |
7월 23일경 | 1년 중 가장 더운 날. |
가을 | 입추 (立秋) |
8월 8일경 | 가을의 시작. |
처서 (處暑) |
8월 23일경 | 가을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날. | |
백로 (白露) |
9월 8일경 |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날. | |
추분 (秋分) |
9월 23일경 | 밤의 길이가 낮보다 길어지기 시작하는 날. | |
한로 (寒露) |
10월 8일경 | 찬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날. | |
상강 (霜降) |
10월 24일경 | 서리가 내리기 시작하는 날. |
겨울 | 입동 (立冬) |
11월 8일경 | 겨울의 시작. |
소설 (小雪) |
11월 22일경 | 눈이 내리기 시작하는 날. | |
대설 (大雪) |
12월 7일경 | 1년 중 눈이 가장 많이 내리는 날. | |
동지 (冬至) |
12월 22일경 | 1년 중 낮이 가장 짧은 날. | |
소한 (小寒) |
1월 5일경 | 1년 중 가장 추운 날. | |
대한 (大寒) |
1월 20일경 | 1년 중 큰 추위. |
댓글